수면 중 돌연사의 원인이 뭔가요?
2020.02.21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의사 신홍범입니다.
수면 중 돌연사 수면무호흡증과 돌연사, 자다가 숨 막혀서 죽는다..
뭐 이런 내용인데요, 실제로 주무시다가 잘못되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겨울철에 많죠 그리고 대개 새벽 무렵에 많습니다.
실제 심장마비, 심근경색, 협심증 이런 거 심장과 관련된 심장부정맥 이런 사고들이 대개 새벽 무렵에 새벽 4시, 5시, 6시 잠에서 깰 무렵에 많다고 해요
근데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분들이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을 가장 심하게 겪는 시간이 새벽 4시. 5시, 6시 이렇게 새벽 무렵입니다
왜냐하면 그 때 꿈 수면, 렘수면의 비율이 늘어나요.
꿈을 많이 꾸는거 하고 무슨 관련이 있는냐 이 렘수면, 꿈을 꿀 때는 우리 몸에 힘이 다 빠집니다
기도를 유지하는 조직의 힘도 빠져요.. 기도가 좁아지기 쉽죠
워낙 수면무호흡증 있는 사람의 수면무호흡이 더 심해지는 거예요
자다가 20초동안 숨을 안쉬는 사람이 그때는 40초 동안 숨을 안 쉴수 있습니다
심장에 무리가 많이 가죠 혈압도 많이 올라갑니다
그러다가 심장이 멈춰버리면 그게 심장마비고 또 심장에 혈류 공급이 안 돼서 답답함을 느끼고 깨게 되면 이제 협심증이죠
그리고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은 대부분 그 전후로 많이 나타납니다
이런 것들이 사실은 수십 년에 걸쳐서 계속해서 반복되다가 그 영향으로 우리 심장이 견디지 못하고 멈춰 버리거나, 이상한 증상을 보이게 될 때가 수면 중 심혈관질환이 나오는 거죠
그리고 수면중 심혈관질환의 원인은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이 되겠습니다
다르게 얘기하면 사실 잠을 자는 시간은요 우리 심장과 비롯한 심혈관계통이 쉬는 시간이에요. 잠을 잘 때는 우리가 활동을 많이 하지 않기 때문에 혈액 순환이 빠른 필요가 없죠
심장이 천천히 뜁니다 심장은 이렇게 멈출 수는 없어요. 그래서 천천히 뛰는게 심장이 쉬는 방식이에요
근데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있을 때 코를 골다가 자다가 숨이 막히고 그리고 다시 숨을 쉬고 이럴 때 심장이 느리게 뛰다가 빨리 뛰다가 느리게, 빨리 뛰는 걸 반복합니다
자동차로 치면 액셀레이터를 밟았다가 브레이크를 밟았다가 이런 거를 계속 반복하는 거예요. 이런 걸 하는게 기본적으로 엔진이 안좋겠죠.
심장도 마찬가지 입니다. 심장이 빨리 뛰고 느리게 뛰고, 또 숨이 막혀서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심장이 뛰어야 되고 하는 거 자체가 모두 다 심장에 무리를 줍니다
그래서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경우에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상당히 높아집니다
돌연사 위험도 높아지고 그걸로 인해서 초기에는 심장질환이 나타나겠죠
부정맥 이라든지 그러다가 조금 더 구체적인 심장질환이 나타나고 경우에 따라 돌연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특히 심장이 안좋은 분들은 내가 심장부정맥, 심근경색, 협심증 등으로 어떤 치료를 받았거나, 약을 드시고 있는 분들은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이 혹시 나한테 있지는 않은지 알아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게 있다면 치료를 해야 되겠죠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있는지 알아보는 가장 안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수면다원검사 합니다
하룻밤을 수면 검사실에서 자면서 잠을 찍어 보죠 호흡을 보죠 수면상태로 보는데 이때 역시 심장의 움직임을 찍는 심전도도 같이 찍습니다
실제로 그냥 심장 문제가 없는, 없다고 믿고 있는 사람들이 수면다원검사에서 그 심전도를 보면 부정맥이나 심전도 이상 소견을 발견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심장 전문클리닉으로 의뢰를 하기도 하지요 근데 그런 분들의 경우에 수면 무호흡증에 대한 비약물치료인 양압기 치료가 있습니다
양압기 치료를 통해서 수면무호흡증을 조절하면 자는 동안에 심장이 빨리 뛸 필요가 없고 심혈관계통 무리가 갈 필요가 없습니다
그래서 혈압도 떨어지고 심장질환에 리스크도 많이 줄어들고 그리고 낮 동안에 덜 피곤하고 좀 더 활기찬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이 심장질환에 원인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심장 질환을 가지고 계신 분들 중에서 코골이가 있다라는 얘기를 들으신 분들은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진단을 위해서 수면다원검사를 받아 보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이상입니다
2020.02.21
